반응형 전체 글650 새터민 청소년 복지정책의 개선방안(2) (2) 정부단체의 지원체계 강화 • 정부는 새터민들의 한국사회의 적응을 원활히 돕기 위해서 이들에 대한 지원 단계를 크게 3단계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시설보호 단계, 초기 정착 지원 단계, 사회진출 후 지원 단계로 나누고 있습니다. •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현황에서 보면, 시설보호 단계는 대성공사와 하나원 생활 기간을 의미합니다. 국정원 소속기관인 대성공사에서는 탈북 동기 등과 관련하여 조사를 받게 됩니다. 이후 하나원에 입소하여 3개월 과정의 사회적응교육을 받게 됩니다. 하나원은 심리상담 등 생활지도, 사회적응교육, 기초직업훈련, 사회 편입 및 생활인 성지원을 위한 기초 작업을 담당합니다. • 이 단계에서 새터민 청소년들의 초기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으로는 하나원, 삼죽초등학교, 한겨레학교, 무지개청소.. 2022. 3. 13. 새터민 청소년 복지정책의 개선방안(1) (1) 새터민 청소년 적응을 위한 사회 지원체계 강화 최근 들어 새터민 청소년들의 국내 입국 규모의 증가 추세에 따라 정부 및 민간단체는 이들의 남한 사회 적응을 돕기 위하여 법·제도적 장치 마련부터 다양한 사업의 전개에 이르기까지 여러 경로를 통한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정부의 관련 정책은 장기적이고 보편적인 정책이 아니라, 임의적이고 특수한 지원정책으로 일관한 측면이 있습니다. 동시에 새터민의 다양한 사회적 지위를 고려한 지원 정책이기보다 북한 이탈자라고 하는 일반적 특수성만을 고려하여 관련 정책이 마련되었음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더욱이 그동안 정부 및 민간단체를 중심으로 이들의 성공적인 남한사회 정착 을 돕기 위한 다양한 사업이 전개되었으나, 남한 사회내의 또 다른 북한 사회라고 하는 .. 2022. 3. 9. 새터민 청소년 복지정책의 문제점 새터민 청소년 복지정책의 문제점 - 새터민의 남한 사회 적응과 정착지원을 위한 민간단체는 많이 있으나, 새터민 청소년만을 위한 민간단체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정부 주도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것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공백을 종교단체와 민간단체에서 메우고 있는 현실입니다. - 종교 단체의 경우 새터민 청소년들의 적응 과정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새터민 청소년들 중 비교적 사회적 응이 성공적인 경우 종교활동 참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새터민 청소년들이 종교 활동을 통하여 주변인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으며, 이들 도움이 단기적 일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심리적 안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 2022. 1. 21. 새터민 청소년 민간차원의 정착지원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로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종교계와 민간단체 등 민간단체(NGO)의 북한이탈주민지원 사업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습니다. 다양한 연령과 가족단위의 입국이 늘면서 입국 경향에 맞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민간단체와 협력을 통하여 실정에 맞는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부적응 문제의 유형과 원천이 다양하듯이, 문제 대응책 또한 다중적인 것이 되어야 하므로 정부나 학교의 지원만으로는 해결되기 쉽지 않습니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12주 하나원 사회적응기간은 너무 짧고, 이들이 겪는 소외와 차별, 고독감, 고통과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은 미미한 상태입니다.. 2021. 9. 24. 이전 1 ··· 117 118 119 120 121 122 123 ··· 16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