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와 문화
본문 바로가기
교육

사회와 문화

by 건강리뷰 2021. 8. 10.
반응형

사회와 문화에 대해 알아봅시다.


문화의 개념은 문화인류학 용어로 정착하던 초기부터 사회의 개념 못지않게 인간의 삶을 총체적 이념으로 묘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문화 인류학자들은 문화라는 요소가 사회에 비해 인간의 속성을 더 잘 나타낸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는 인간 외의 동물, 곧 벌이나 개미, 철새 떼, 늑대 무리 등 여러 동물 집단에서도 사회적 성격을 발견할 수 있지만(물론 여기서도 동물의 군집성과 인간의 사회성은 구별되지만), 문화적 성과는 발견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1) 문화와 생산
문화는 본질적으로 인간의 생산 활동과 연관이 있습니다. 사람이 무엇인가를 만들어내는 것과 연관이 있으며 사람이 만들어낸 것은 바로 사람의 삶에 개입합니다. 이는 인간의 생산물(창조물)과 그 생산물의 영향이 특히 오늘날 문화라는 말이 갖는 본질적 의미입니다. 생산물과 함께 인간은 역사적으로 특별한 의미의 문화적 삶을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미의 문화적 삶은 대중적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현대인의 삶 속에서 일상화됩니다. 문화산업과 대중문화를 아우르면서 고전적 문화의 대중화와 일상화를 포함하는 것이 오늘날 문화라는 말이 가리키는 것입니다.


(2) 관계
사회는 '관계'를 그 본질로 합니다. 사회와 관계는 사람 사이의 관계에서 가정이라는 기초 단위 공동체 안에서 이루 어지
는 부부 사이의 관계와 부모 자식 사이의 관계를 비롯해, 좀 더 큰 인간 공동체를 구성하는 모든 사람 사이의 관계가 사회라는 말이 본질적으로 지칭하는 것입니다. 사회의 개념은 '관계'의 요소를 본질로 하며, 문화의 개념은 '실현'의 요소를 본질로 합니다. 사회의 개념을 통해서는 생산행위가 이루어질 때에 생산주체 사이의 관계를 주로 관찰하려 하고, 문화의 개념을 통해서는 생산이라는 실현 과정을 주로 분석하려 합니다. 관계와 실현이라는 두 명제를 이어 줄 수 있는 것은 바로 매개(媒介)의 개념입니다. 오늘날 사람 사이 및 인간 집단의 관계는 문화적 실현 행위에 따른 성과물에 의해 끊임없이 매개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인간의 문화 활동 자체가 인간관계를 끊임없이 매개합니다.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의 형태  (0) 2021.08.10
문화의 기능  (0) 2021.08.10
문명의 주요개념  (0) 2021.08.10
문화의 정의  (0) 2021.08.10
지역사회의 유형(새로 개발된 지역사회, 농촌지역사회, 산업단지)  (0) 2021.08.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