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치료 목표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를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치료 목표를 가족 구성원과 협상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것은 구성원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그 목표가 성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주요 목표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가족과 치료자가 첫 상담에서 목표를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면 치료의 종결을 향해 작업하기는 한결 수월해집니다. 목표지향적인 이 모델에서는 목표가 잘 설정된다면 문제의 반은 이미 해결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구성원이 목표를 분명하게 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에서의 목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 | 주요 용어 | 질문의 예 |
긍정적인 형대로 | '그 대신’ | 그 대신 무엇을 할 수 있습니까? |
과정의 형태로 | '어떻게' 진행형 동사 |
그것은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
지금 바로 여기 | '궤도에 오르면’ | 오늘 이곳을 떠나 궤도에 오르게 되면 당신은 무엇을 다르게 하고 있을 것 같습니까? 혹은 무엇을 다르게 말하고 계실 겁니까? |
가능한 한 구제적으로 |
'구체적으로' |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실 겁니까? |
내담자의 통제 안에서 |
'당신’ | 그런 일이 일어나면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을 것입니까? |
내담자의 언어로 | 내담자의 언어를 사용 |
건강해져서 운동을 하고 있을 겁니다. |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의 목표는 도움을 받으러 온 가족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해결방법을 가족과 함께 모색하고 실행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치료 목표 설정 시 내담자와 함께 내담자가 원하는 목표를 세우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목표를 세울 때에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염두에 두도록 합니다.
(1) 가족에게 중요하고 유익한 것을 목표로 한다.
(2) 목표는 작고 간단한 행동이어야 한다.
(3) 구체적이고, 명확하고, 측정할 수 있는 행동 용어로 기술한다.
(4) 문제를 제거하기보다는 긍정적인 행동에 관심을 둔다.
(5) 목표를 최종 결과가 아닌 처음의 시작이나 신호에 둔다.
(6) 내담자의 생활에 시 현실적이고 성취 가능한 것을 목표로 한다.
(7) 목표 달성은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고 인식한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결중심 가족치료 "치료자의 역할" (0) | 2021.06.10 |
---|---|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0) | 2021.06.09 |
해결중심 가족치료 "치료자와 내담자의 관계 형성" (0) | 2021.06.07 |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0) | 2021.06.05 |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0) | 2021.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