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기 발달(신체발달)
본문 바로가기
교육

청년기 발달(신체발달)

by 건강리뷰 2021. 7. 7.
반응형

청년기 발달 중 신체발달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청년기의 발달과제
(1) 청년기의 정의
청년기는 20세~35세로 봅니다. 즉 청년기는 청소년기 이후부터 성인기 이전까지를 의미합니다. 사회통념상 대학생을 청년으로 보는 경향이 있습니다.


(2) 특징
청년기는 신체적·지적 측면에서 가장 정점에 있는 시기이며,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는 시기입니다.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는 다른 사람을 사랑하고 보살피는 능력이 심화되는 시기입니다. 


(3) 청년기 결정 기준
청년기를 결정하는 기준은 연령, 신체적 · 생리적 · 사회적 성숙 등입니다. 신체적 성숙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시기, 그리고 심리적 성숙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자아정체감이 확립되는 시기를 청년기로 봅니다. 발달에 대한 잠재력은 전 생애에 걸쳐 존재하지만 청년기 이후의 발달은 새로운 신체적 기능이나 인지적 능력의 획득에 의해 일어나기보다는 주로 사회적·문화적 요소에 의해 주도됩니다.


(4) 그랜트 스터디
그랜트 스터디 (1938~1970년까지 성인의 발달에 대한 최초의 중단적 연구로 1938년 연구 당시 18세였던 대학생 286명을 50세가 될 때까지 추적한 종단적 연구에서 다른 사람들이 인생에 실패할 때 어떤 사람들은 왜, 어떻게 성공하는 지를 알아내고자 한 연구)에 의하면 25~35세의 기간에 청년은 직업과 자신의 가족을 보살피는 데 전념하며 직장에서 인정을 받고 전문가가 되기 위해 열심히 일합니다. 또한 청년기의 성공적 발달에는 지능, 행복한 아동기, 풍족한 집안 배경과 같은 요인보다는 훌륭한 지도자 (멘토)와 역할 모델의 존재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봅니다.


(5) Levinson의 청년기에 성취해야 하는 발달과제
① 아직 현실에 기반을 두지 못하고 다소 과장된 목표로 구성되어 있는 꿈과 희망을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② 청년의 목표를 인정해 주고, 기술이나 지혜를 가르쳐 주며, 청년이 자신의 경력에서 전진하도록 영향력을 발휘하고 자신감을 갖게 해주는 지도자를 발견해야 합니다.
직업을 선택하고 나아가 경력을 쌓고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④ 친밀한 관계를 형성해야 한다.

 

반응형

2) 청년기의 신체발달
(1) 인간의 신체적 발달
인간의 육체적 힘은 25세에서 30세가 가장 강건한 시기입니다. 30세가 지나면 신체적 기능이 감퇴하기 시작하여, 손이나 손가락의 동작도 둔감해지기 시작합니다. 시력, 촉각, 후각, 미각 등은 20세경에 최고에 달했다가 40세 정도가 되면 점점 나빠지기 시작합니다.


(2) 청년기의 성장과 발달
청년기의 성장과 발달에는 여러 가지 측면이 있지만 그중 신장과 체중, 골격, 생식기의 발달, 호르몬의 변화 등이 두드러집니다. 청년기가 되면 신장, 체중, 간을 포함하는 일반 곡선, 생식기관의 성장곡선, 두뇌, 눈, 귀등을 포함하는 두뇌 곡선, 아데노이드, 림프 노이드 등의 임파선 곡선 등이 성장률 100에 도달하는 등 성장의 최고 수준이 됩니다. 청년기는 아동기보다 더 건강하고 질병률도 낮으며 이러한 최적 근육 발달의 시간적 차이로 인한 청소년기의 어색한 모습은 사리지고 청년기에는 균형 잡힌 모습을 갖추게 됩니다. 

(3) 특징
① 인간의 신체적 성숙은 청년기에 거의 완성이 되며 이 시기에는 신체적으로 활기, 힘, 건강의 최고 수준을 보이며 근육과 내부기관의 기능도 이 시기에 최고 수준에 달합니다. 
② 육체적 힘은 25세~30세 사이에 최고조에 이르며 그 후에는 점진적으로 쇠퇴하나 대부분의 신체적 능력과 기술은 규칙적으로 사용하기만 하면 그 기능이 청년기 이후에도 지속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