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09

전조각기 (preoperational preriod, 2~7세) 전조 각기 (preoperational preriod, 2~7세)에 대해 알아봅시다. Piager에 의하면, 전주 시기는 2~7세까지로, 전 개념 기는 2~4세, 직관적 사고기는 4~7세로 봅니다. 이 시기는 유아가 언어와 같은 상징적 매체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사고 기술에 커다란 진전을 이루는 시기이나 사고가 직관적이어서 효율적인 논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상징적 사고를 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선 조직적 단계가 시작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막대기가 총이 될 수도 있고, 우유 컵이 될 수도 있습니다. 즉 어떤 사물을 상징하는 싱(像), 단어, 행동 등을 어떤 기호로 쓸 수 있게 됩니다. 전조작기 유아의 특징은 상징적 사고, 직관적 사고, 자아 중심성, 물활론적 사고, 도덕적 실재론, 꿈.. 2021. 7. 22.
감각운동기(sensorimotor preriod, 출생~2세) 감각 운동기(sensorimotor preriod, 출생~2세)에 대해 알아봅시다. 감각 운동기는 Piaget의 인지발달 단계에서 첫 번째 단계로 출생 후부터 약 2세까지의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영아가 자신의 감각과 운동을 조절함으로써 세상의 사물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되므로 감각 운동기라고 부릅니다. 이 단계의 영아는 처음에는 원초적 반사 행동을 하다가 손가락 빨기와 같은 자발적 행동을 거쳐 사물을 조작할 수 있게 되고 마침내 목표 지향적 행동을 하게 됩니다. Piaget에 의하면 감각 운동기는 아래와 같은 6개의 하위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 시기는 유아에 따라 개별적으로 다를 수 있습니다. (1) 제1단계 : 반사기(modification of reflexes, 출생.. 2021. 7. 22.
인지발달의 주요개념 인지발달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도식 도식은 인지적인 구조 (cognitive structures)라고 할 수 있습니다. Piaget는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몇 개의 반사 기능을 가지고 태어납니다. 즉, 아기는 태어나자마자 빨기, 보기, 잡기 등 반사적인 잠재력을 갖고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인지구조를 구성해 나갑니다. 이 잠재력을 Piaget는 도식(schema)라고 부릅니다. 도식은 기억되어 있는 '인지적 틀', '지식의 묶음', '이해의 틀’, ‘색인 철(index file)', '카테고리 (범주)'의 하나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도식은 변화하는 인지발달의 구조로서 생리적으로 갖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환경과 접촉하면서 반복되는 행동과 경험을 통하여 유기.. 2021. 7. 22.
피아제 인지발달의 기능적인 면과 구조적인 면 피아제 인지발달의 기능적인 면과 구조적인 면에 대해 알아봅시다. Piaget는 지능을 기능적인 면과 구조적인 면으로 나누어 설명합니다. 기능적인 면이란 인지체계가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한 것이며, 구조적인 면은 인지체계가 창출해 내는 지식을 말합니다. 1) 기능적인 면 • 기능적인 면을 보면 Piaget는 인지발달을 설명하기 위해 생물학에서 조직화(organization)와 적응(adaptation)의 두 기능을 빌려 옵니다. 이 두 개념은 직접 관찰될 수 없는 것으로 인간의 행동으로부터 추론됩니다. 조직화(organization)는 행동이나 사고가 각각 분리된 채로 있는 것이 아니라 관련된 행동이나 사고 체계로 묶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면 아기가 어떤 물건을 손바닥에 놓으면 그것을 쳐다보거나 꼭.. 2021. 7.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