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카테고리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육153

한국의 문화 특성(정, 한, 체면, 눈치, 가족주의, 연출, 동류의식) 한국의 문화 특성 중 정, 한, 체면, 눈치, 가족주의, 연출, 동류의식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정 정은 인간의 희, 노, 애, 락, 애, 오, 욕과 같은 칠정의 모든 감정을 통틀어 일컫는 것이나 한국인이 사용하는 정은 주어진 대상에 대한 직접 또는 간접 접촉과 공동 경험을 통하여 무의식적으로 형성된 일종의 정신적 유대감이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정은 사귐이 깊어 감에 따라 더해가는 친근한 마음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 한 한은 욕구나 의지의 좌절에 따르는 삶의 파국에 대처하는 강박적인 미음의 자세와 상처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얽힌 복합체로 정의되고 있습니다. 즉 한은 자신의 불행에 대해 후회하는 억누를 수 없는 생각과 부당하다는 엇갈린 심리가 결합된 감정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3) .. 2021. 8. 11.
문화의 보편성, 상징성, 학습성, 역동성 문화의 보편성, 상징성, 학습성, 역동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문화의 보편성 문화의 보편성은 모든 사회에 공통적 문화 형태가 있음을 말합니다. 문화는 우리의 감정적 도덕적 가치와는 관계없이 생활의 주요 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것은 문화의 구성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뜻에서 문화는 그것이 문명사회이건 미개 사회이건 간에 모든 사회에 존재합니다. 사람은 독특한 개인으로 존재하지만 그 개인은 국가, 조직, 가족 등의 구성원이 추구하는 문화를 수용함으로써 공통의 문화를 지닙니다. 2. 문화의 상징성 문화의 상징성은 모든 문화가 외형으로 드러나는 것 외에 속으로 품고 있는 의미가 따로 있음을 말합니다. 그래서 문화를 '사람들의 경험을 해석하고 행동을 유도, 규제하는 의미와 상징의 체계’로 정의하기도 .. 2021. 8. 11.
문화의 형태 문화의 형태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은둔 문화 은둔 문화는 외부에서 손쉽게 파악할 수 없는 감추어진 문화를 말합니다. 이것은 인간의 행동이나 사물을 통해서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문화의 내부나 하부에 존재하는 가지관, 내세관 등을 말합니다. 은둔 문화는 내재된 문화라고도 하며, 나타나 보이지 않지만 인간의 행동과 사고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것은 외적으로 나타난 문화와 서로 관련되어 기능하고 있으며, 전체 문화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 하위문화 하위문화는 전체 문화의 일부분을 이루는 문화를 말합니다. 이것은 한 사회집단 내에서 다른 것과 구분될 수 있도록 다르게 나타나는 생활양식을 말합니다. 하위문화는 한 사회집단의 각 부분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행위 양식이나 사고방식을 포함한 생활양.. 2021. 8. 10.
문화의 기능 문화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개인은 사회에서 문화를 습득하면서 성장하고 발전합니다. 문화는 개인의 사회적응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생리적·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 줍니다. 또한 문화는 개인의 행동을 규제하고 사회악을 제거시키며, 사회를 유지하고 존속시킵니다. (1) 사회화 문화는 개인이 사회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말하며 어떻게 세상을 인식할 것인가를 가르쳐 주는 지침이 됩니다. 개인은 문화가 만들어낸 산물로서, 사회에서 문화를 습득하면서 성장하며, 문화를 변동시키고 문화를 이끌어 나갑니다. 문화는 개인의 성격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며, 개인에게 다양한 생활양식을 내면화시켜 개인이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게 합니다. (2) 욕구 충족 문화는 개인의 생리적 욕구와 심리적 욕구를 충족시켜줍니다. 문화.. 2021. 8.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