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육153 생태학적 이론과 기본가정 생태학적 이론과 기본 가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생태학적 이론 Bronfenbrenner는 생태학적 이론을 '활동적이고 성장하는 인간과 환경 간의 일생을 통하여 이루어진 진보적이고, 상호적인 적응과정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라고 하였습니다. 생태학적 이론에서는 유기체를 환경과 분리할 수 없으며 상호작용하는 체계라고 보기 때문에, 개인과 환경을 이분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양자 간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둘 수 있게 합니다. 생태학적 이론은 인간과 환경 사이의 상호보완성을 설명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으며, 환경과 인간을 하나의 총체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Bronfernbrenner는 인간발달은 '인간이 자신의 환경을 지각하고 다루는 방식에서 지속적 변화'라고 정의하면서 세 가지 기본 전제를 제시.. 2021. 8. 3. 사회체계의 역동성과 문제해결을 위한 노력 사회체계의 역동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사회체계의 역동성 Parsons는 모든 사회체계가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하여 구조적으로 분화된다고 봅니다. 수직축은 도구-완성 측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수단-목적 차원을 의미합니다. Parsons는 이 두 축으로 사회체계가 안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성공적으로 해결해야 될 네 가지 기능상 문제를 만들었는데 목적 달성, 통합, 적응, 형태 유지라는 네 가지 기능상의 문제를 나타낸 모형입니다. 체계의 존재를 유지하고 발달시키기 위해 모든 사회체계는 이 네 가지 문제에 직면합니다. Martin과 O'Connor는 체계가 조직화, 상호 인과성, 항구성, 공간성, 경계라는 다섯 가지 속성을 가진다고 하였습니다. 체계는 끊임없는 변화와 이동의 과정이 있으면서 동시에 역동적.. 2021. 8. 2. 사회체계의 주요개념 사회체계의 주요 개념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경계 사회체계의 경계란 체계를 외부환경으로부터 구분하는 일종의 테두리를 말합니다. 사회체계의 경계는 사회적 구조이므로 경계를 유지하는 행동을 통해서만 드러납니다. Kuhn과 Bean은 경계는 행정지역, 정치적 성향, 법적 정의, 인종처럼 객관적 기준에 근거할 수도 있으나 어떤 사람이나 집단을 열등하다고 낙인찍는 것처럼 인위적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고 하였습니다. Chess와 Norlin은 사회체계에서 경계는 두 가지 주요 기능을 한다고 합니다. 첫째는 체계의 정체성을 규정해 주며, 둘째는 주위 환경과의 내적 외적 교환을 통제합니다. 한편 경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투할 수 있으며, 사회체계는 경계를 통해 에너지와 정보의 전달이 가능합니다. 2) 개방 제계와 폐.. 2021. 8. 2. 사회체계이론의 개념과 기능 사회체계 이론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사회체계의 개념 사회체계 이론의 기본적 관점은 '체계'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하여 해결하고자 하는 대상에 접근하는 것입니다. Anderson과 Carter는 체계는 구별되는 방식으로 상호작용하고 일정 시간 동안 지속되는 요소들로 이루어진 조직화된 전체를 일컫는다고 합니다. Buckley는 체계가 일정기간 동안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가지고 인과적 관계 속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복합체계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체계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구성요소나 변수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상호 의존하고 작용하면서 환경과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Martin과 O'Connor는 체계가 조직화, 상호 인과성, 항구성, 공간성, 경계라.. 2021. 8. 2. 이전 1 ··· 4 5 6 7 8 9 10 ··· 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