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중심 가족치료'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해결중심 가족치료7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치료 목표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를 능률적이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치료 목표를 가족 구성원과 협상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입니다. 그것은 구성원이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하게 하고 그 목표가 성취된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주요 목표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가족과 치료자가 첫 상담에서 목표를 명확하고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면 치료의 종결을 향해 작업하기는 한결 수월해집니다. 목표지향적인 이 모델에서는 목표가 잘 설정된다면 문제의 반은 이미 해결된 것으로 봅니다. 따라서 구성원이 목표를 분명하게 정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에서의 목표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 주요 용어 질문의.. 2021. 6. 7.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과 발달시킨 학자들에 대해 살펴봅시다. 1)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MRI 모델의 영향을 받은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는 자기 문제에 대한 편협하고 비판적인 시각이 잘못된 해결책을 갖고 경직되게 사용하는 패턴을 믿기 때문에 구성원이 정말로 변화하고자 하는 의지가 중요하다고 가정합니다.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의 대표적인 치료자는 스티브 드 세이저와 인수 버그 (김인수)입니다. 1970년대 캘리포니아 팔로알토에 있는 MRI에서 드 세이저는 이론 연구, 조사연구, 저술활동을 하였고, 인수 버그 (김인수)는 치료자들을 위한 교육 훈련과 저술활동을 하였습니다.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는 MRI의 전략이며 단기적인 모델 위해서 발전하였습니다. 1978년 미국 위스콘신 주 밀워키에서 드 .. 2021. 6. 5.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주요이론 해결중심 가족치료의 주요 이론에 대해 알아봅시다. 전략적 가족치료는 증상 제거에 초점을 두고 구체적인 치료 전략을 세워 역설적 방법으로 접근하는 에릭슨(M. Erickson)의 영향을 받은 접근 모델을 통칭합니다. 이 치료모델은 공통적으로 일반 체계 이론과 사이버네틱스에 근거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 이론에 바탕을 두고 문제가 가족 전체의 역기능적 상호작용과정 때문에 발생한다고 전제합니다. 또한 1990년 전후로 해결중심 단기 가족치료는 언어의 사용과 의미부여에 관심을 두었으며, 치료적 접근법을 발전시켜 나가는 데 있어 '사실'에 대한 사회구성주의적 견해와 탈근대주의를 적용하였습니다. '인간의 행동'은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가는 것'으로 간주하고 현실은 주관적이므로 '사실'의 문제는 '관점'의 문.. 2021. 6.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