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행동의 개념
본문 바로가기
교육

이상행동의 개념

by 건강리뷰 2021. 7. 26.
반응형

이상행동의 개념에 대해 알아봅시다.


어떤 행동이 이상행동(abnormal behavior)인가에 대한 대답은 정신의학의 소관이지만, 일반적으로 이상행동이란 심리적 장애, 즉 자기 자신이나 타인의 건강, 성장, 행복한 삶을 저해하는 빗나간 행동이라 정의합니다. Rosenhan과 Seligman은 이상행동을 정의하는 데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사용하여 어떤 사람이나 행동을 비정상적이라고 결정하는 데 고려해야 할 요소로 고통, 부적응, 비합리성과 불가해성, 예측 불가능성과 통제력의 결핍, 비인 습성으로 들었습니다.


1) 고통
어떤 사람이 심리적으로 심각한 고통을 겪을 때 흔히 비정상적으로 간주되며 고통을 심하게 겪을수록 우리는 그 사람을 더욱 비정상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고통이 이상행동의 필요조건은 아닙니다. 즉, 어떤 행동을 이상행동이라고 정의하기 위해서 고통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면 조증의 상태에 있는 사람은 의기양양하고, 항상 명랑하고, 현실성 없는 포부가 실현될 것으로 확신하며 의지에 차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 고통은 없으나 명백한 이상행동을 간주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통은 이상행동의 충분조건이 아닙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매우 아끼고 사랑했던 것을 잃었을 때 고통스러워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비정상적 빈 응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고통의 여부만으로 이상 행동이라고 정의할 수는 없습니다. 고통의 여부는 이상행동을 분간해 내는 데 고려되는 요소이기는 하지만 고통 그 자체만으로 이상행동을 정의할 수 있는 필요조건이나 충분조건은 못 됩니다.


2) 부적응
적응적 행동은 '그 행동이 그 사람의 생존을 증진시키는가?', '그 행동이 개인의 안녕(well-being)을 증진시키는?', '그 행동이 사회의 안녕을 증진시키는가?'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그 행동이 얼마나 그 사람 자신의 안녕과 사회의 안녕을 증진시키는가 하는 것이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와 같은 이상행동은 대인관계와 일을 방해하며 삶을 만족스럽게 하지 못합니다. 이러한 저해의 정도가 심할수록 더 분명한 이상행동이라 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부적응은 개인과 사회의 복지를 저해하는 것이 됩니다.

 

반응형

3) 비합리성과 불가해성
어떤 사람의 행동이 합리적이지 않아서 그 행동을 이해할 수 없을 때 우리는 비정상이라고 말합니다. 이러한 기준에 의해 이상행동으로 간주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가 정신분열증의 주요 증세인 사고장애입니다. 그들은 객관적 현실에 전혀 기반을 두지 않은 인식과 비합리적이고 터무니없는 생각, 한 사고에서 전혀 연관성이 없는 다른 사고로 이어지는 정신적 과정 등으로 객관적 이해가 불가능합니다.


4) 예측 불가능성과 통제력 결핍
사람은 누구나 환경을 통제하고 싶어 하고 또 자유를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니는데 이러한 욕구는 타인에 의해서 예측 가능할 때에만 충족할 수 있습니다. 즉, 예측 가능한 세계에는 일관성과 통제가 존재하지만 예측 불가능한 세계에서 사람들은 무기력하고 위협받는 것처럼 느낍니다. 


어떤 사람에게 있어서 자신의 행동에 대한 일상적인 통제가 갑자기 무너졌을 때 또는 그 사람이 그렇게 행동하는 원인을 우리기 이해할 수 없을 때 우리는 그 사람이 통제력을 상실했다고 간주하고 그런 행동을 이상행동으로 정의합니다.


5) 비인 습성
자신이 그 행동을 할 의사가 있는지에 따라 그 행동에 대해 인습적인가 또는 비 인습적인가를 판단합니다. 즉, 자기가 할 의사가 없는 행동을 비 인습적이고 비정상적인 것으로 평가합니다. 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한 행동이 사람들의 시선을 끄는 것도 이상행동의 판단기준이 됩니다. 


드물고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며 이상행동으로 간주됩니다. 각 문화마다 성문화 되어 있지는 않지만 직관적으로 알고 행동의 지침으로 사용하는 규율이 있습니다. 이러한 규율을 깨트리는 행동은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비정상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