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53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응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 •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는 Herskovits로부터 시작되었고 그는 문화적응을 '다른 문화를 가진 개인들의 집단들이 처음으로 지속적인 접촉에 들어갈 때, 그 결과 한 집단 혹은 양 집단의 공유의 문화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Berry도 문화적응을 두 문화 간에 장기간, 직접적인 접촉의 결과로 생긴 변화로 정의했는데 무엇보다 정치, 경제, 교육, 종교 등 일상적으로 접하는 것들과 대인관계, 심리 내적인 변화를 들고 있습니다. • 새로운 사회에서 적응과정의 반응은 개인적 성향과 반응 양식에 따라 유형이 다른데 통합형, 분리형, 동화형, 주변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바람직한 유형.. 2021. 9. 10.
신체기관이 무엇을 제일무서워할까?(위, 심장, 폐, 간, 신장, 담낭, 비장, 췌장) 각 신체기관이 무엇을 제일 무서워할까요? ① 위는 차가운 것을 두려워합니다. 소화효소의 분비가 적어지고 소화관의 연동운동이 저하되어 소화가 잘되지 않아 위와 장에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② 심장은 짠 음식을 두려워합니다. 고혈압을 유발하고 고혈압은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의 강력한 원인이 됩니다. ③ 폐는 연기를 무서워합니다. 말하지 않아도 아시죠?^^ ④ 간은 기름기를 무서워합니다. 오메가 6이 함유된 기름은 산화가 빨리되어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의해 간 손상을 유발합니다. ⑤ 콩팥(신장)은 밤을 새우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밤을 새우면 간과 신장이 손상되고 장기적으로 잠이 부족한 사람은 기억력이 저하되고, 정신력이 저하되어 업무능률이 저하되고 나이가 많을수록 치매에 걸릴 위험이 커진다고 합니다. ⑥.. 2021. 8. 25.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개념 새터민 청소년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새터민 청소년은 분명 우리 사회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이자, 현재 우리 사회를 설명하는 중요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최근 들어 북한 통일 관련 연구소를 비롯한 각각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새터민 청소년들에 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매력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새터민 청소년의 수는 증가하여 2018년 약 3,500명 정도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새터민 청소년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법률적 개념과 이를 지칭하는 명칭은 시대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며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북한을 탈출하여 북한 이외의 지역에 체류하고 있는 북한 주민을 .. 2021. 8. 23.
아르바이트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복지 아르바이트 청소년을 위한 청소년 복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아르바이트와 파트타임의 개념 차이 • 일반적으로 파트타임을 생계를 위한 수단, 즉 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돈벌이로 본다면, 아르바이트는 본업이 있는 사람이 부가적으로 일을 수행하며, 그 일을 통해 노동의 의미를 깨닫고 자아성취의 과정으로 이해하는 개념입니다. • “아르바이트”라는 단어는 일, 노동, 근로 등의 뜻을 가진 독일어의 Arbeit가 외래어 화하여 우리말처럼 쓰이는 것이므로, “본래의 직업 외에 임시로 하는 일”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파트타임”은 영어의 part-time job 혹은 part-timer를 줄여서 부르는 말로서 “시간제 근무 혹은 시간제 근무자”로 번역되며, 전일 근무(full time job)와 대비되.. 2021.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