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94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4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의 주요 개념 중 자아 분화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자아 분화의 개념 자아 분화는 보웬 이론의 핵심 개념으로 개인이 원가족의 정서적 융합에서 벗어나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자율적으로 기능하게 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자아 분화는 정신 내적 수준과 대인 관계 수준으로 나누어 사고와 감정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정신 내적 수준은 지적 기능이 정서적 기능에서 얼마나 되어 있는가와 확고한 자아발달을 의미합니다. 자아 분화와 대인관계 수준은 타인의 영향에 대한 민감성과 다른 사람과 친밀한 정서성, 그리고 자아정체감과 독립성 등의 양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자아 분화는 사고로부터 감정을 분리할 수 있고, 타인과 구별되는 확신과 신념, 자주성을 지닌 정도를 의미합니다. 자아 분화가 높으.. 2021. 5. 18.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사례와 치료기법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사례와 치료기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사례 -학교에 가는 것을 싫어하는 지영 (8세)이 가족- 부부의 불화가 심각한 것을 발견했다. 남편은 아내가 요구가 많고 너무 지배적이다'라고 불평하고 아내는 남편이 '너무 자기 멋대로 하고 누구 말도 듣지 않는다.'라고 불평하여 거의 매일 싸우는 상황이다. 이 부부의 성장환경과 결혼 과정을 탐색한 결과 남편은 위로 5명의 누나가 있는 외아들로 귀여움을 받고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일찍 돌아가셨고 어머니와 누나들은 그를 독립적으로 키우지 못하고 과잉보호하였다. 그는 가정에서 벗어나고자 해병대에 입대하여 성공적으로 복무를 마치고 자영업을 하고 있다. 그는 어머니와 누나들에게 계속 의존하면서도 자신의 남성다움을 찾기 위해 자신에게 순종하는 착.. 2021. 5. 18.
정신역동적 가족치료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치료자의 역할 - '빈 스크린 역할' ① 개인이나 가족원 간, 가족과 상담자 간에 심리 내적 역동과 전이, 역전이, 투사적 동일시를 중시합니다. ② 배우자 선택과정과 현재의 가족관계를 개인이 초기 원가족에서 내면화된 자아상과 대상 이미지와 연관시켜 접근합니다. ③ 자연스럽게 가족 내 그리고 가족 간의 숨은 갈등을 드러내어 개인 및 가족의 행동과 기능에 미치는 무의식적 영향을 해석합니다. ④ 자신에 대한 이해와 통찰을 통해 개인의 심리 내적 변화와 체계 변화가 이루어져 개인과 가족 간의 갈등이 감소되도록 중립적으로 접근합니다. (2) 치료 기법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주요 기법은 가족들의 통찰력과 이해력을 높이려는데 집중되어 있습.. 2021. 5. 17.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치료목표 및 과정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치료 목표 및 과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치료 목표 및 과정 (1) 치료 목표 정신역동적 가족치료의 목적은 인간의 무의식에 근거하고 있는 갈등, 억압, 충동 등의 문제행동에 대한 자신의 통찰을 통해 의식화시켜서 묶여 있던 에너지가 변화되어 환경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즉, 무의식적 이미지와 방어기제가 아닌 지금의 현실에 바탕을 둔 전인적인 사람으로 가족원 간의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무의식적 내면세계를 의식화하는 작업입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상담 목표는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정합니다. ① 첫째, 개인의 성장촉진과 내면성을 성숙시킨다. ② 둘째, 자기중심적 인간관계를 극복한다. ③ 셋째, 비현실적인 환상을 포기하고 현실을 그대로 수용하는.. 2021. 5.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