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약물남용7 약물남용의 원인 1) 생물학적인 원인 생물학적인 원인의 대표적인 것으로 알코올 중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있어 왔는데 대부분 연구에서 일반인보다 알코올 중독자의 집안이나 친척에서 알코올 중독이 훨씬 많이 발견된다고 합니다. 2) 심리학적인 원인 • 심리학적인 원인을 살펴보면 정서적인 긴장, 불안, 우울, 권태, 외로움 등의 상황에서 빠져나가기 위해 현실도피의 목적으로 약물을 사용하게 된다. 현실에서는 그 고민이 있더라도 약물로 인한 편한 느낌으로 문제가 곧 해결될 것 같은 착각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 그러나 약기운이 떨어지면 다시 현실로 돌아와 괴로워하게 되고 다시 약물을 복용하게 되는 악순환을 밟게 됩니다. 이러한 도피성 심리가 반복될수록 현실을 이기는 힘이 더욱 약해져 결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피 심리와 자기.. 2022. 6. 9. 가출의 원인(개인적 요인) 1) 개인적 요인 청소년기는 지금까지 부모에 대한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심리적으로 독립하고자 하는 욕구가 강해서 이것이 가출의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청소년들의 욕구 수준은 급속히 상승되나 그들의 사회적 욕구를 사회가 허용하는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이 성인에 비해 떨어져 욕구 충족도가 이에 못 미치게 됨에 따라 욕구불만도가 높아지곤 합니다. 이러한 욕구불만 속에서 억압된 욕구를 비정상적으로 처리하는 한 형태로서 가출 행위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정신적 요인 • 자아정체감 확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심리적으로 부당한 대우, 폭력적 발언 그리고 방임 등으로 이들의 낮은 자아정체감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가출 원인으로 조사 대상자들이 보고한 바에 의하면.. 2022. 3. 17. 기분장애의 종류와 특징 기분장애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봅시다. 기분(정동) 장애는 근본적으로 심한 우울증에서 조증에 이르는 일련의 감정을 포함하는 기분의 병리 상태입니다. 기분이 극단적으로 우울한 상태를 우울증이라고 하며 극단적으로 들뜬 기분상태에 있는 경우를 조증이라고 합니다. 고양된 기분 또는 우울한 기분이 주된 임상양상이지만 기분만이 기분장애 환자에게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신체적 증상, 자기 파괴적 행동, 사회적 기능의 상실, 손상된 현실 파악 능력 등이 흔히 우울증과 조증에서 나타나 환자와 환자 가족을 곤란하게 하거나 때로는 생명의 위협을 주는 상황에 처하게 합니다. 양극성 기분장애는 우울증과 조증을 모두 포함하며 단극성 기분장애는 우울증 또는 조증 중 하나만을 포함하나 통상 우울장애를 단극성 기분장애로 명명.. 2021. 7. 2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