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
본문 바로가기
교육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

by 건강리뷰 2021. 7. 22.
반응형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구체적 조작기(concrete operational preriod, 7∼12세)
취학 전 연령인 6~7세부터 11~12세경까지를 구체적 조작기라 부릅니다. 이 시기에 접어들면, 아동의 사고는 급격한 진전을 보게 됩니다. 구체적 조작기가 되면 유아는 지적 조작을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논리적으로 사고하게 되고 전 조작적 사고의 제한된 특성에 구애를 받지 않게 됩니다. 그러나 이들이 풀 수 있는 논리적 문제는 아동 자신의 주위에 있는 구체적 사물에 관한 것입니다. 이런 연유로 Piaget는 이 시기를 구체적 사고기라고 불렀습니다.

 

반응형


2) 형식적 조작기(formal operational preriod, 12세 이후)
아동의 인지 구조가 질적인 변화를 하는 마지막 단계가 형식적 조작기입니다. 12세경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아동의 사고는 또 한 번의 중요한 변화를 겪게 됩니다. Piaget에 의하면 이 시기의 아동은 가설적인 것, 확률, 가능성에 관하여 생각하는 능력을 발달시킵니다. 한 사대가 주어지면 다른 방안을 간구할 수 있으며 가장 체계적이면서도 과학적인 추론을 할 수 있습니다


형식적 조각기의 아동은 현실적 세계를 넘어서서 추상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이 시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완전한 상징적 추론이 가능하게 되며,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추상적 개념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사태를 일반화할 수 있게 됩니다. 형식적 조작기의 대표적인 사고방식은 조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입니다.


조합적 사고란 (combinational thinking) 하나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모든 가능한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궁리해 봄으로써 종국에 가서 문제 해결에 이르게 되는 사고를 말합니다. 연역적 사고(dedutive thinking)는 일반적 사실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사실에 도달하는 사고, 즉 '만약~하면 ~이다'라는 사고가 가능해집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