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주거의 실태
본문 바로가기
노인복지

우리나라 노인주거의 실태

by 건강리뷰 2023. 1. 5.
반응형

1) 노인주거의 실태 
(1) 고령가구 
- 2014년 전체 1,845만 8천 가구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자가 가구주인 고령가구는 370 만 3천 가구로 전체 가구의 20.1% 차지하였으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임 
- 가구주의 연령이 65세 이상이면서 혼자 살고 있는 가구는 2014년 기준으로 전체 가구 의 7.1%를 차지하였으나, 2035년에는 15.4%로 2배 이상 증가가 예상됨 (통계청, 장래 가구추계) 

(2) 가구주 연령대별 주택점유형태 
- 가구주 연령대별로 보면, 34세 이하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17.0%인 반면, 가구주 연령 이 증가함에 따라 자가점유율도 증가하여 65세 이상 가구의 자가점유율은 70.2%로 나타났음. 가구주 연령이 34세 이하, 55세 이상 가구의 경우 보증부 월세 거주 비율이 높고, 35~55세 가구주의 경우 전세 거주 비율이 높았음 (국토해양부, 2012) 

(3) 가구주 연령대별 주택 유형 분포 
- 가구주 연령대별 주택 유형 분포를 보면 55세 이후 연령대에서 아파트 거주비율이 낮 고 일반 단독주택 거주 비율이 높게 나타났음 
- 34세 이하 연령대에서 다가구 단독주택 거주 및 다세대 거주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며, 주택이 거저에 거주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 

(4) 자가 가구의 향후 2년 내 이사 이유 
- 향후 이사 이유는 자기 가구의 경우 더 넓은 집, 시설 설비가 더 좋은 집, 자녀 양육과 교육환경으로 인한 이사가 주된 이유였으나 저소득층 자가 기구의 경우 소득 감소 및 생활 형편 어려움에 따른 이사 이유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음 
- 54세 이상 자가 가구의 경우 더 넓은 집보다는 오히려 주택 규모를 더 줄이기 위한 이 사 이유가 많으며 다른 연령대에 비하여 교통 편리 요인이 강하였으며, 65세 이상 자 가 가구의 경우 소득 감소 및 생활 형편 어려움으로 인한 이사 이유가 가장 많게 나타났음

 

반응형


(5) 임차 가구의 향후 2년 내 이사 이유 
- 입차 가구의 경우, 시설 설비가 더 좋은 집, 직장 변동, 더 넓은 집으로 가기 위해 이 사를 계획하고 있으나, 집세가 너무 비싸서 이사하겠다는 응답도 11.1%로 나타났음 

- 특히 45세~64세 연령대의 가구는 '집세가 너무 비싸서' 이사하겠다는 응답이 가장 높 있으며 34세 이하 가구의 경우 '더 넓은 집으로 가기 위한 미사' 이유가 매우 크게 나타났음 

(6)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을 보면, 전체 가구의 33.7%가 거주 의사를 보였음 
- 즉, 수도권 거주자, 저소득층, 44세 이하 가구주의 공공임대주택 거주 의향 비율이 매 우 높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선호하는 공공임대주택 유형에 있어서는 영구임대주택이 1순위로 나타났으며, 국민임대주택이 2순위로 나타나고 있음


(7) 가구유형별 현황 
- 수급자의 가구유형은 대부분 노인, 장애인, 모자·부자가구 등 취약계층 가구가 63.1%이며, 보다 안정된 가구인 일반가구는 30.9%였음(보건복지부, 2015) 

 

 

2) 노인의 주거안전사고 현황 
- 안전사고란 안전 관련 교육의 미비 또는 부주의 따위로 일어나는 것으로 찰과상, 타박상, 날카로운 물체에 베인 상처 등에서부터 교통사고, 화상, 감전, 익수, 추락 등 안전과 관련된 상해로 인하여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고통이나 불편감을 초래하여 치료를 요하는 모든 사고를 말함 
  
- 노인 주거안전사고는 노인주거복지시설과 양로시설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노인주거복지시설 내에서 미끄러짐, 떨어짐(낙상), 부딪힘, 걸림, 기타 찔림, 베임, 끼 임, 화상 등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시설물과 직접 관련된 부상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고통이나 불편을 초래하여 지료를 필요로 하는 모든 의도하지 않은 사고를 말함

반응형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주거복지정책  (0) 2023.01.16
주거복지법  (0) 2023.01.09
노인주택  (1) 2023.01.04
노인주거보장정책의 현황  (0) 2022.12.22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종류와 입소절차  (0) 2022.12.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