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본문 바로가기
교육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by 건강리뷰 2021. 7. 21.
반응형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개요
인간 행동의 결정 요인으로 사회적 요소를 중요하게 고려, 대부분의 학습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모방한 결과로 이루어집니다. 사회학습이 사람의 성격을 형성한다고 봅니다.
① 모델링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한 후 그 학습을 따라 하는 것입니다.
② 자기 조정은 자신의 행동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개인의 능력입니다.
③ 자기 강화는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보상을 자기 자신에게 주므로 자신의 행동을 개선합니다. 

 

반응형


2) 관찰학습의 과정
① 주의집중 단계 : 관찰학습의 첫 단계로서, 모방하려는 모델의 행위에 주의를 집중하는 단계입니다. 모델로부터 무엇을 학습하기 전에 우선 모델에 주의를 집중해야 합니다.


② 파지 단계 : 이 단계는 관찰된 내용이 기억되는 단계입니다. 관찰에서 얻은 정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파지 되어야 합니다. 정보의 내용을 파지 하려면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함과 동시에 그 행동의 사실적 혹은 분석적 표상이 되어야 합니다. 


③ 재생 단계 : 이 과정은 학습된 것이 어느 정도 수행으로 번역되느냐를 결정합니다. 우리는 인지적으로는 많은 것을 학습할 수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서 그러한 정보를 행동으로 번역할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모방하려는 행동을 잘 파지 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그것을 실제 실행에 옮겨봄으로써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데, 이것이 바로 재생 단계입니다.


① 동기화의 단계 : 관찰학습의 마지막 단계는, 강화를 통해서 행동의 동기를 높여 주는 단계입니다. 관찰을 통해서 학습된 행동은 그 행동이 강화를 받을 때에는 지속적으로 일어날 것이나, 만일 그 행동이 벌을 받게 된다면 그 행동은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