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가족치료의 발달과정을 살펴보고 발달 배경과 발달시킨 학자들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구조적 가족치료의 발달 배경
구조적 가족치료는 1970년대에 미국에서 가장 각광을 받은 이론으로 아동정신과 의사인 살바도르 미누친과 그 동료들에 의해 발전하기 시작했습니다. 미누친은 1950년대 미구에서 정신분석 훈련을 받았으며, 월트 위크에서 학교의사로 일하면서 하류층 가족과 이민 온 유색계 가족들을 상담하면서 빈곤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새로운 치료 이론의 필요성을 느꼈습니다.
미누친은 그의 동료들과 함께 치료 이론의 개념을 연구 발전시키며 자체적으로 교육과 훈련을 시작했습니다. 예전까지 행하던 치료사의 폐쇄적인 방식에서 과감히 탈피하여 일방경을 사용하여 치료자의 치료과정을 공개하며 관찰하는 방법을 시도했습니다. 월트 위크에서 미누친은 동료들인 거니, 몬탈보, 로스만, 슈머와 함께 임상의 성공적인 결과에 힘입어 자신들의 개념과 기법을 담아 1967년 「슬럼가의 가족」이란 책을 발표하였습니다.
1965년 필라델피아의 아동상담 클리닉 책임자로 있으면서 헤일리와 함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을 더욱 세련되게 체계화하였습니다. 아동상담 클리닉은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의 적용과 그의 열정적이고 유머스럽고 믿음직한 태도와 함께 날로 발전하여 10년 후에는 직원이 300명이 넘는 규모로 확장되었습니다. 필라델피아의 책임소장으로 은퇴하기 전 1974년 그는 '가족과 가족치료」를 출판하였다. 이 책은 구조직 가족치료 기법과 개념을 적용한 임상사례로 전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지침서가 되었습니다.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에 공헌한 사람으로는 전락적 가족 치료자로 잘 알려진 헤일리를 비롯하여 몬탈보, 로스만, 아폰데, 피시맨 등이 있습니다. 미누친은 필라델피아에서 치료 훈련 책임자로 은퇴한 후, 뉴욕에 가족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가족 치료자들을 훈련하다가 1996년 은퇴하였습니다.
2) 구조적 가족치료를 발달시킨 학자
구조적 가족치료를 발달시킨 학자는 미누친입니다. 이 외에도 헤일리를 비롯하여 몬탈보, 로스만, 아폰테도 구조적 가족치료를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지만, 미누친이라는 강렬한 빛에 가려서 두각을 보이지 못했습니다.
미누친은 구조적 가족치료의 개발자로 저소득층 가족이 복합적인 문제를 지니고 있는 데다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부족하고 고치기 힘든 굳어진 습관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이를 치료하기 위하여 동료들과 함께 이론을 개발하였습니다. 구체적이고 행동중심적인 접근을 하는 것이 가족의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치료 경험을 통해 알게 되면서 구조적 가족치료 이론을 개발하였습니다.
구조란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부분이나 요소가 하나의 사물 또는 조직을 이를 때, 각각의 부분이나 요소가 맞물려 있는 원리 또는 규칙을 의미합니다. 보통 구조를 도식화함으로써 어떤 사물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됩니다. 미누친도 치료를 위한 청사진 등의 비유를 사용하면서 가족구조를 도식화하려고 시도하였습니다.
구조는 가족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으로 일관성 있고 반복적이며 예측 가능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그래서 가족 구성원의 상호작용, 즉 언제, 누가, 누구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알면 쉽게 가족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3) 가족구조
가족구조는 구조적 가족치료의 핵심 개념입니다. 가족구조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위 체계, 경계선, 위계구조를 이해해야 합니다. 가족구조는 눈에 잘 보이지 않으며 식별하기가 쉽지 않으나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건물의 물리적 구조를 가족의 상호작용 구조를 이해하기 위하여 은유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가족구조는 두 가지 기본 전제 조건이 있습니다.
(1) 모든 가족은 부모가 자녀보다 더 큰 권위를 가지는 위계구조를 갖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전제는 권력행사가 상호적이고 보완적인 기능을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2) 가족은 그 가족만의 특별한 것이 있습니다. 즉, 규칙과 행동양식은 가족 내에서 서서히 형성되고 진화되면서 가족 내의 역할, 규칙 및 행동양식 등을 지배합니다. 가족구조는 가족 구성원이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조직화하는 하나의 보이지 않는 기능적 요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조적 가족치료의 경계선과 권력, 그리고 위계구조 (0) | 2021.05.22 |
---|---|
구조적 가족치료의 체계 (0) | 2021.05.21 |
치료 기법과 '나~입장' 취하기 (0) | 2021.05.20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의 과정 및 기법 (0) | 2021.05.20 |
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 "정서적 단절" (0) | 2021.05.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