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참여의 일반적 필요성은 크게 본래적 필요성, 자기개발 필요성, 도구적 필요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참여의 필요성은 청소년 참여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고 볼 수 있다.
• Bopp는 학습하는 존재로서 인간발달의 속성을 고려해볼 때 참여는 인간의 학습과 인간의 발달에서 주요한 역동성이라 하였다. 즉 인간이 자신을 둘러싼 세계와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서 학습하고 성장하기 때문에 참여가 없으면 학습도 발달도 없다는 것이다.
• Hart의 발달심리학적 관점에서는 청소년 참여를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기술이나 책임감에 대한 경험 없이 16세, 18세, 또는 21세가 되면 갑자기 책임감이 있고 참여하는 성인으로 되기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한편으로 지역사회발전이나 청소년 복지 발전을 위해서 청소년들이 능동적으로 자신의 생활환경을 개선하는 데 참여하여 청소년 복지를 활성화하는 촉매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그 무엇보다도 시민성에 대한 교육이 청소년 참여 필요성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사회가 능동적인 시민성을 이상으로 추구하는데 청소년은 시민이 되도록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시민성을 개발할 기회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 청소년이 교육이나 고용의 기회 등과 같이 복지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하거나 자신의 권리가 존중받는 경험을 하지 못하는 경우 시민으로서 부여되는 의무를 감수해내기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에서 청소년들의 시민성이 개발될 공간이 필요하고 사회적으로 요구되는 자질과 태도를 학습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습득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한데, 청소년 참여는 이에 대한 필수적인 수단이 된다.
• 또한 청소년 참여는 청소년들이 성장하고 학습하는 기회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이 살고 있는 사회나 청소년들 자신의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국가에서는 청소년들이 청소년 복지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 비전 그리고 전문성을 제시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줌으로써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 보다 미시적으로 청소년 참여는 청소년 복지프로그램 기획과 운영에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우선 참여한 청소년들의 복지프로그램에 대한 주인의식, 청소년 요구 반영, 청소년의 아이디어 활동 등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참여한 청소년들을 통하여 다른 청소년들과 의사소통을 하고 프로그램을 가장 효과적으로 청소년들에게 홍보할 수 있고, 청소년들에 의해 소개되는 복지프로그램은 신뢰를 받을 수 있다.
• 한편, 복지프로그램의 리더, 교육가, 상담가로서 청소년 참여는 성인 전문가보다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잠재적 기술과 자긍심, 리더십을 강화할 수 있다.
'청소년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복지의 일반적 현황 (0) | 2022.06.22 |
---|---|
하트의 참여 8단계 (0) | 2022.06.22 |
청소년 참여의 개념과 의의 (0) | 2022.06.21 |
청소년 권리의 발달과정 (0) | 2022.06.20 |
청소년 권리에 대한 관점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