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험적 가족치료 "의사소통 및 대처 유형" 중 회유형과 비난형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티어는 의사소통의 언어적 · 비언어적 과정을 중요시하였으며, 메시지의 일치성과 불일치성에 많은 관심을 두었습니다. 또한 의사소통이란 인간과 인간 사이에 오고 가는 모든 것을 의미하며, 서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그리고 모든 의사소통은 학습되는 것이기 때문에 의사소통 유형은 변화될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1) 회유형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무시하고 다른 사람의 기분을 맞춰주려고 애쓰는 유형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에 맞추려는 경향이 있어서 다른 사람의 의견에 지나치게 동조하고 비굴한 자세를 취하며, 사죄와 변명을 하는 등 지나치게 착한 행동을 보입니다. 더 나가가서 일이 잘못되면 자신에게 모든 책임이 있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비난받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주로 하는 말이나 행동 : “모두가 제 잘못입니다.”, “죄송합니다. 용서해주세요" 등이 있습니다.
행동 및 정서 | - 용서를 구하는 - 애원하는 - 변명 - 구걸 - 의존적 - 지나치게 착한 - 지나치게 명랑한 |
언어 | - 다 내 탓이야! - 당신 없으면 나는 아무것도 아니야 - "나는 생각하지 마” - "당신이 원하는 것 뭐예요." |
주요감정 | - 상처받음 - 슬픔 - 걱정 - 분개 - 억눌린 - 분노 |
자아개념 | - 자아가치의 결핍 - 자신감의 결핍 - 자아와 미접촉 - 자신에 대한 - 기대에 초점 |
자원 | - 돌봄 - 양육적임 - 예민성 |
반응형
2) 비난형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을 무시하고 결점을 지적하고 독재자처럼 남을 통제하려 하며 명령하는 유형으로 회유형과 정반대로, 타인을 무시합니다. 자신을 강하게 보이게 하려고 타인의 말이나 행동을 비난하고 통제하며 명령합니다. 외면적으로는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나 내면적으로는 자신이 소외되어 있으며 외로운 실패자라고 느낍니다.
주로 하는 말이나 행동 : “네가 제대로 하는 것이 있냐?", "너 때문이야.", “당신이 문제야.” 등이 있습니다.
행동 및 정서 | - 비난 - 고함 지름 - 화난 표정 - 겁주기 - 판단하기 - 명령하기 - 약점잡기 - 지배하기 |
언어 | - "다 네 잘못이야." - "넌 뭐가 문제야?" - “제대로 하는 것이 없단 말이야." - "나에게는 잘못이 없어." |
주요 감정 | - 화남 - 좌절 - 믿지 못하는 - 분개 - 억눌린 상청 - 통제 불능에 대한 두려움 - 외로움 |
자아개념 | - 자아가치감의 결핍 - 성공적이지 못함 - 자아와 미접촉 - 통제결핍 /무기력한 - 타인에 대한 기대에 초점 |
자원 | - 자기주장성 - 지도력 |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험적 가족치료 "일치형" (0) | 2021.05.30 |
---|---|
경험적 가족치료 "초이성형과 산만형" (0) | 2021.05.30 |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1) | 2021.05.29 |
경험적 가족치료의 발달과정 (0) | 2021.05.28 |
경험적 가족치료의 주요이론 (0) | 2021.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