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4 새터민 청소년 복지정책의 문제점 새터민 청소년 복지정책의 문제점 - 새터민의 남한 사회 적응과 정착지원을 위한 민간단체는 많이 있으나, 새터민 청소년만을 위한 민간단체는 그리 많지 않다. 물론 정부 주도의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것이 미치지 못하는 사각지대의 공백을 종교단체와 민간단체에서 메우고 있는 현실입니다. - 종교 단체의 경우 새터민 청소년들의 적응 과정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새터민 청소년들 중 비교적 사회적 응이 성공적인 경우 종교활동 참가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새터민 청소년들이 종교 활동을 통하여 주변인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으며, 이들 도움이 단기적 일회적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정기적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심리적 안정에 절대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 2022. 1. 21. 새터민 청소년 민간차원의 정착지원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이탈주민의 증가로 이들에 대한 한국사회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종교계와 민간단체 등 민간단체(NGO)의 북한이탈주민지원 사업에 대한 욕구가 높아졌습니다. 다양한 연령과 가족단위의 입국이 늘면서 입국 경향에 맞는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감당할 수 없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민간단체와 협력을 통하여 실정에 맞는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한국사회부적응 문제의 유형과 원천이 다양하듯이, 문제 대응책 또한 다중적인 것이 되어야 하므로 정부나 학교의 지원만으로는 해결되기 쉽지 않습니다. 북한이탈 청소년의 12주 하나원 사회적응기간은 너무 짧고, 이들이 겪는 소외와 차별, 고독감, 고통과 어려움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제도적 지원은 미미한 상태입니다.. 2021. 9. 24.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 정착지원 체계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 정착지원 체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정부의 정착지원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어른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국 입국 후 정보기관에 의해 탈북 동기의 입국 경위 등에 대한 조사 후 남한사회적응 교육시설인 하나원에서 12주의 '사회적응훈련'을 받습니다. 1999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시설로 설립된 하나원은 북한이 탈주민들의 사회적응능력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초기 적응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입국자의 80%를 차지하는 여성의 특성에 맞는 특화교육을 강화하고, 우리 사회의 도덕관 확립 교육과, 맞춤형 직업훈련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06년 11월 이전까지만 해도 하나원 내 보호수감 기간이 12주였으나 북한이탈 입국자의 수가 급증하여, 정착지원을 위한 수용.. 2021. 9. 12.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응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 •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는 Herskovits로부터 시작되었고 그는 문화적응을 '다른 문화를 가진 개인들의 집단들이 처음으로 지속적인 접촉에 들어갈 때, 그 결과 한 집단 혹은 양 집단의 공유의 문화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Berry도 문화적응을 두 문화 간에 장기간, 직접적인 접촉의 결과로 생긴 변화로 정의했는데 무엇보다 정치, 경제, 교육, 종교 등 일상적으로 접하는 것들과 대인관계, 심리 내적인 변화를 들고 있습니다. • 새로운 사회에서 적응과정의 반응은 개인적 성향과 반응 양식에 따라 유형이 다른데 통합형, 분리형, 동화형, 주변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바람직한 유형.. 2021. 9. 10. 이전 1 ··· 51 52 53 54 55 56 57 ··· 9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