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터민' 태그의 글 목록 (2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새터민7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 정착지원 체계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 정착지원 체계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정부의 정착지원 북한이탈 청소년들은 어른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한국 입국 후 정보기관에 의해 탈북 동기의 입국 경위 등에 대한 조사 후 남한사회적응 교육시설인 하나원에서 12주의 '사회적응훈련'을 받습니다. 1999년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시설로 설립된 하나원은 북한이 탈주민들의 사회적응능력과 정서적 안정을 위한 초기 적응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 입국자의 80%를 차지하는 여성의 특성에 맞는 특화교육을 강화하고, 우리 사회의 도덕관 확립 교육과, 맞춤형 직업훈련 및 취업연계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2006년 11월 이전까지만 해도 하나원 내 보호수감 기간이 12주였으나 북한이탈 입국자의 수가 급증하여, 정착지원을 위한 수용.. 2021. 9. 12.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응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새터민 청소년의 남한 사회 적응 •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는 Herskovits로부터 시작되었고 그는 문화적응을 '다른 문화를 가진 개인들의 집단들이 처음으로 지속적인 접촉에 들어갈 때, 그 결과 한 집단 혹은 양 집단의 공유의 문화에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라고 정의했습니다. • Berry도 문화적응을 두 문화 간에 장기간, 직접적인 접촉의 결과로 생긴 변화로 정의했는데 무엇보다 정치, 경제, 교육, 종교 등 일상적으로 접하는 것들과 대인관계, 심리 내적인 변화를 들고 있습니다. • 새로운 사회에서 적응과정의 반응은 개인적 성향과 반응 양식에 따라 유형이 다른데 통합형, 분리형, 동화형, 주변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바람직한 유형.. 2021. 9. 10.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 북한이탈(새터민) 청소년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봅시다. 1) 개념 새터민 청소년을 한마디로 규정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새터민 청소년은 분명 우리 사회를 이루고 있는 구성원이자, 현재 우리 사회를 설명하는 중요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최근 들어 북한 통일 관련 연구소를 비롯한 각각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새터민 청소년들에 관한 논의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도 같은 매력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해마다 새터민 청소년의 수는 증가하여 2018년 약 3,500명 정도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새터민 청소년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이들에 대한 법률적 개념과 이를 지칭하는 명칭은 시대적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며 다양하게 불리어지고 있습니다. 먼저, 북한을 탈출하여 북한 이외의 지역에 체류하고 있는 북한 주민을 .. 2021. 8.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