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례발굴, 사정, 계획수립과 일정표 작성, 서비스 실행, 모니터링, 그리고 평가와 사후관리의 6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함
(1) 사례발굴과 접수
- 사례발굴(outreach) 및 접수는 대부분 의사의 적격심사 이후에 사례관리팀으로 이송된 요보호노인을 대상으로 그의 특성과 유형에 적합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단계
(2) 사정(assessment)
- 사정은 노인의 태도와 행동변화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 그가 처한 상황에 대한 객관적 정보를 수집하고, 그의 욕구를 정확히 평가하는 단계이고, 일반적인 조사항목으로는 건강상태, 심리사회적 상태, 인지능력, 경제적 상황, 사회적 환경 등
- 자료를 정리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SOAP 방식이 활용됨
→ S(Subject information): 클라이언트의 주관적인 정보
→ O(Objective information) : 사실적 정보 및 사회복지사의 관찰하는 자료
→ A(Assessment) : 사정, 견해, 해석, 분석 내용
→ P(Plan) : 주관적 및 객관적 정보와 사정을 기반으로 설정된 계획
(3) 실행계획 수립과 일정표 작성
- 실행계획 수립은 사회서비스를 체계적으로 전달하는 단계로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일정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사회에 산재된 자원들의 현황을 분석하여야 함
(4) 서비스 실행
- 서비스의 실행은 각종 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므로 사례관리자는 실천과정에서 목표달성도, 서비스의 질과 비용, 욕구의 변화 등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실행계획 및 일정을 변경함
(5) 모니터링
- 사례관리자는 사회서비스의 실행과정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의 방법으로는 전화, 가정방문, 담당팀원(요양보호사, 가정간호사, 자원봉사자)의 사례회의 등이 있음
(6) 종결과 사후관리
-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해결되었거나, 더 이상 사회서비스가 필요 없게 되었을 때, 현재의 서비스를 가지고 더 이상 개선하기 어려울 때,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성이 부족할 때에 사회서비스의 제공은 종결된다. 종결에 관한 결정은 사례관리팀원과 클라이언트 간에 이루어짐
• 시간적으로 사례관리를 전개하는 과정은 접수 - 사정 - 사례 목표 설정 및 서비스 계획 작성 - 계획 실시 - 모니터링 및 사후 관리 - 평가 종결 순
• 사정은 클라이언트의 건강, 사회심리적 기능, 인지능력, 재정, 환경, 사회적 지지, 욕구 등을 사정도구를 통해 구체화하는 과정
• 사정의 목적 : 클라이언트가 원하지만 가지지 못한 욕구가 무엇인지,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능력 부족 때문에 충족되지 못한 욕구는 무엇인지에 대해 사례관리자가 찾아내는 데 있음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례관리의 모형과 실무원칙 (0) | 2023.08.29 |
---|---|
사례관리에서 이루어지는 사정영역과 서비스 계획 (0) | 2023.08.28 |
노인사례관리의 구성요소 (0) | 2023.08.24 |
사례관리의 기능 (0) | 2023.08.16 |
사례관리자의 역할 (0) | 2023.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