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래 웰빙은 미국에서 반전운동과 민권운동 정신을 계승한 중산층 이상 시민들이 고도화된 첨단문명에 대항해 자연주의, 뉴에이지 문화 등을 받아들이면서 파생된 삶의 방식으로 부각되었고, 우리나라에서 웰빙 개념이 언급되기 시작한 것은 대략 1997년 말부터로 파악됨
• 웰빙(well-being)이란 신체적. 심리적으로 건강하며 일상에서 삶의 질적인 수준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상태로 웰빙은 심리적 안녕 (psychological well-being)을 의미하는 개념(이미숙, 2004)
- 우리말로 well은 건강한, 안락한 만족한, Being은 건강한 인생을 실자는 의미로 우리말로 '참살이'라고도 하며, 사전적 의미로 '복지 · 안녕. 행복', 즉 삶의 질을 강조하는 용어로써 육체와 정신의 조화를 통해 행복하고 안락한 삶을 지향하는 삶의 유형 또는 문화를 일컬음으로써 여유롭고 조화로운 삶을 지향함을 의미함
• WHO에서는 웰빙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행복, 창조성, 충만함, 그리고 즐거운 사회환경과 같은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며 또한 이 같은 이상적인 특징들을 수용하고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라 보고 있음
- 그리하여 웰빙을 '개인, 집단, 국가가 풍요로운 생존력을 가질 수 있는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상태'라고 정의하며, 개인적 입장에서의 웰빙은 심리적·신체적 · 사회적으로 긍정적인 상태임을 의미함
• WHO에서는 건강의 개념을 단지 질병에 걸리거나 허약하지 않은 상태만이 아니라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well-being)라고 되어 있음
• 보건의료계 분야에서는 건강의 개념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정의하였음(이향란, 2016)
(1) 첫째, 인간의 해부구조와 생리기능이 정상 범위에 있는 상태를 '건강'이라고 하고, 이 범위를 일탈한 것을 '질병'이라고 하였음
- 이는 생의학의 이론을 기초로 정의된 것으로 병원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음
(2) 둘째, 질병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신체적·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한 상태를 건강이라고 보는 것
- 즉, 해부구조나 생리기능이 정상이라 하더라도 정신적·사회적으로 불편하면 건강하다고 할 수 없다는 것임
(3) 셋째, 인간이 신체적·정신적 · 사회적으로 환경에 순조롭게 적응하여 최적의 편안함을 유지하는 상태를 건강이라 함
- 즉 건강을 환경과의 적응이라는 관점으로 이해하여 그 상태를 측정하는 것임
(4) 넷째, 인간이 자신의 신체적 · 정서적 · 정신적 · 사회적 영적 안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최대의 잠재력을 발휘한 상태를 건강이라고 할 수 있음
- 즉, 인간은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그 능력의 개발 정도에 따라 건강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임
(5) 다섯째, 공동체가 건강한 사회는 다른 사람의 목적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그 스스로 목적이 되는 사회
- 또한 궁극적으로 각 개인이 자아를 스스로 실현시키면서 살아가는 삶이 건강한 삶임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교육의 필요성 (0) | 2024.01.23 |
---|---|
힐링과 평생교육 (0) | 2024.01.22 |
노인교육 (0) | 2023.11.02 |
사례관리의 모형과 실무원칙 (0) | 2023.08.29 |
사례관리에서 이루어지는 사정영역과 서비스 계획 (0) | 2023.08.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