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본문 바로가기
교육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by 건강리뷰 2021. 5. 31.
반응형

경험적 가족치료의 치료과정 중 휘태커의 치료과정과 사티어의 치료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휘태커의 치료과정
휘태커는 가족은 교육이 아닌 경험을 통하여 변화하며, 특히 비언어적이고 상징적인 경험이 중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는 치료과정에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보다 그 자리에서 듣고 관찰하고 자신이 경험한 것을 이용하여 가족의 상처를 치료하였습니다. 휘태커는 내면의 경험을 중시하고 이를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독자적이고 도전적인 개입을 하여 가족들이 자기 인식, 자기 신뢰, 인간적 성장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그는 간혹 상식을 뛰어넘는 개입을 함으로써 가족들이 강한 정서적 경험을 하도록 하였습니다. 그는 치료과정 속에서 경직된 가족을 가식적인 것에서 탈피하여 자유롭게 하는
데 뛰어난 소질을 지녔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다음 몇 가지 예에서 휘태커의 개입방법을 엿볼 수 있습니다.

그는 여러 번의 자살을 시도했던 우울한 청년에게 “다음 번 자살을 시도할 때는 치료자의 좀더 확실한 조언을 받아 성공할 수 있도록 하라”고 말합니다. 청년은 놀라서 그를 처다보았습니다. 이처럼 그의 시도는 때로 피사의 사탑을 무너뜨리려는 듯한 기법을 사용하였습니다.

딸의 문제로 온 가족이 와서 어머니는 딸의 문제를 열거하고 계속 얘기하는데 아버지는 아무 말 없이 앉아만 있고 휘태커가 물어도 대답을 하지 않습니다. 아버지가 반응을 억압히고 있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휘태커는 아버지에게 딸의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는 이유를 묻는 것이 어머니가 원치 않는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

치료자 : (아버지에게) 당신이 나를 화나게 하고 있다는 것을 아세요?
아버지 : 예? (보통 사람들은 이런 방식으로 말하지 않으므로 그는 당황하고 놀랬다)
치료자 : 당신이 나를 화나게 하고 있다고 말했어요. 당신 아내는 지금 딸 문제를 걱정하고 있는데 당신은 아무 관심이 없다는 듯이 앉아 있군요.
아버지 : 선생님, 어떻게 그렇게 말씀하세요? 저도 식구를 위해 열심히 돈 벌고 있어요. 저도 직장에서 이 사람 저 사람 눈치보고 어려움을 참아가면서 식구들 벌어 먹이느라 뼈가 빠지게 일해요. 또 집에 오면 맞벌이하는 아내가 이일 저일 힘들다, 애가
이랬다 저랬다 불평을 계속 들어야 해요. 나는 질렸어요.
치료사 : 다시 한번 더 크게 말씀해 보세요..
아버지 : 나는 질렸소! 질렸다구요!

휘태커는 아내의 정서적 충격을 주시하면서 남편의 감정표현을 유발하여 남편 안에 쌓여있던 아내에 대한 화난 감정이 표현 되었습니다. 그 결과 분위기가 역동적으로 변화하여 역시 아내도 남편에 대한 감정을 딸 문제로 대치시키고 있음이 노출되었습니다.

 

반응형

(2) 사티어의 치료과정
사티어는 현상학 이론 외에 자아 심리학, 학습이론, 의사소통 이론, 치계이론 등 다양한 이론에 바탕을 둔 다음 네 가지 전제를 기초로 접근합니다.
① 모든 행동은 합리적이고 적절한 동기가 있다.
② 모든 사람은 치료될 수 있으며, 치료는 치료과정 중 일어난다.
③ 신체적 활력과 정서적 건강 수준은 연관되어 있다.
④ 자아존중감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상호 관련되어있다.


치료자는 먼저 가족규칙과 의사소통 유형을 탐색하고, 내담자로 하여금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합니다. 그리고 역기능적인 것에서 벗어나 자기 가치를 발견하여 자신을 개방하고 감정을 나누고 경청하는 방법들을 학습하게 합니다. 치료자는 가족에게 명확한 의사소통 규칙을 따를 것과 메시지를 분명하게 하는 일치형 의사소통을 연습하고 훈련하여 정착되도록 돕습니다.


① 적절한 도움 요청 단계 :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단계로 불균형 상태를 지각하여 이를 변화시키려고 도움과 정보를 구하는 단계
② 통찰 및 저항 단계 : 가족체계에 치료자가 개입하여 문제를 탐색하고 긍정적 목표를 설정하여 새로운 가족체계로의 변화를 꾀하며 가족에게 나타나는 저항 수용하는 단계

③ 감정 직면 및 혼란 단계 : 새로운 지각이 생기면서 과거의 것과 맞지 않아 새것과 통합이 되지 않아 혼란스러운 단계 ④ 새로운 시각 · 방법의 통합단계 : 새로운 학습에 의해 통합이 이루어지는 단계
⑤ 새로운 현상 및 방법의 생활화 연습 단계 : 변화가 자신과 조화를 이루고 자리를 잡아 새로운 자신의 일부가 되는 단계
⑥ 새로운 현상의 정착단계 : 변화가 정착되어 편안함과 안전감, 새로운 경험을 느끼는 단계

3) 치료자의 역할
경험적 가족치료에서 치료자는 인간의 본성인 감정, 즉 정서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춥니다. 내담자 가족들이 자발적으로 개방하여 서로 간에 막힌 담을 무너뜨리듯이, 진짜 자신의 진솔한 감정을 경험하고 다른 사림들이 느끼고 경험한 것들을 서로 나누도록 합니다. 인간적인 참만남이 이루어지도록 치료자는 자신의 감수성, 모델링 역할을 합니다. 또한 치료적 만남을 통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적극적인 촉진자 역할을 하고 의사소통의 방법과 기술을 가르치는 교사이며, 지도자, 관찰자가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험적 가족 치료자의 역할을 보면 일반적인 기법보다 치료자의 자질을 더 강조하고 있습니다.

반맨은 경험적 가족 치료자로서 갖춰야 될 3대 요소를 유능(Competent), 자신감(confident), 일치(Congruent)의 세 개의 C를 강조하여 치료자의 사람됨과 일치성을 중요시 여겼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