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의 개념 및 이론
본문 바로가기
노인복지

범죄의 개념 및 이론

by 건강리뷰 2024. 7. 11.
반응형

1) 범죄의 개념
범죄란 광의적으로 볼 때 사회적으로 형벌을 받게 되는 행위를 의미하며, 협의적으로는 법률적으로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위법행위로 사회질서를 파괴하고 다른 사람에게 손해를 끼치는 일체의 행위를 지칭한다고 볼 수 있음
노인복지법에서는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보지만, 법무연수원의 범죄백서에서는 61세 이상 범죄자를 노인범죄자로 규정하고 있음


2) 이론적 관점
노인에 의한 범죄를 설명하는 이론적 관점으로 이탈 이론, 활동 이론, 아노미 이론, 사회통제 이론 등이 있음(조용철, 2008)


(1) 이탈 이론
커밍과 헨리에 의하면 이탈이란 노년 가기에 다른 사람들과의 사회적 교류 및 활동범위가 축소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이탈과정을 불가피하고 보편적인 과정이며 개인을 위해서나 사회를 위해서 바람직한 과정이라고 봄
이는 사회의 기능적 역할에서 노인이 배제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은퇴과정이 자연스러운 변화임에 반해, 그럼으로써 사회활동과 대인관계로부터 격리되고 기능적 역할을 할 수 없게 된다는 것임
특히 노인 자신이 희망하지 않거나 강제된 은퇴의 경우에는 불만을 갖거나 타격을 입고 일탈행위 즉,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것임
노인은 역할을 상실하고 지위를 상실할 때 자신의 불만을 표출하는 도구로서 범죄를 설명함

 

반응형

(2) 활동 이론
⦁ 이탈 이론과 반대되는 이론으로, 노령기에 접어들어서도 활기찬 노후를 보내기 위해 노인도 활동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함
⦁ 노인이 신체가 허락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사회, 가정의 활동에 참여하면 노인 자신의 정서, 삶의 만족도, 체력관리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것임
⦁ 즉, 노인의 생산적 활동으로부터의 은퇴를 인정하면서도 사회봉사나 자원봉사 등 일할 가치가 있는 대체활동이 필요하다고 보며, 이러한 자기 가치를 실현하는 활동의 기회를 얻지 못한 노인은 보상심리에서 일탈행위에 빠질 수 있다고 봄


(3) 아노미 이론
⦁ 개인의 열망과 한 실적인 기대치와 의 불일치가 아노미 상태를 초래하며, 이것이 곧 범죄나 일탈의 원인이 된다고 봄
⦁ 노인의 경우 배우자의 죽음, 건강악화, 은퇴, 빈곤, 사회적 고립 등 삶의 위기나 노년기의 특정한 사건들이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아노미 상태를 가져온다고 해석함
⦁ 노년기에 은퇴, 배우자의 상실, 이전 역할의 상실과 새로운 역할의 부재 상태, 그리고 노년기에 대한 낮은 가치평가와 지위 등 삶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이러한 변화된 삶이 노인들에게 스트레스 및 좌절을 경험하게 한다고 설명함


(4) 사회통제 이론
⦁ 사회통제 이론에서 범죄란 개인의 사회적 결속이 약화되었거나 붕괴되었을 때 발생한다고 말함
⦁ 개인은 직업이나 좋은 명성 혹은 개인적으로 추구하는 어떠한 가치를 통해서 사회규범에 대한 순응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노년기의 경우에는 배우자의 사망이나 가족해체, 은퇴나 실업으로 인한 역할과 지위상실을 갖게 될 가능성이 많아지면서 노인들의 사회적 결속감이 저하될 수 있다고 유하여 해석할 수 있음

 

반응형

'노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범죄의 유형  (0) 2024.08.16
노인범죄의 원인  (0) 2024.08.15
퇴직준비교육의 개선방안  (0) 2024.07.08
개인형, 기업형 퇴직연금제도  (1) 2024.07.04
확정급여형 퇴직연금과 확정기여형 퇴작연금  (0) 2024.06.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