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략적 가족치료의 과정 및 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치료 목표와 치료과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치료 목표
(1) 전략적 가족치료의 공통적인 목표
• 제시된 현재 증상을 제거하고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
• 증상과 문제가 사회적 맥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가족체계의 변화를 수반하는 문제 해결에 초점
(2) MRI 팀의 목표
• 잘못된 문제 해결 방법을 수정하는 것(일차적인 목표)
• 가족 안에서 일어나는 증상에 대한 가족들의 생각과 믿음의 틀을 재구조화하는 것
(3) 헤일리의 구조적 · 전략적 가족치료의 모델
• MRI보다 행동적인 모델
• 가족을 구조적으로 재조직하는 것
•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단계 이행기의 과업 달성과 성장을 포함
(4) 밀란 모델
증상을 중심으로 가족들이 하고 있는 게임을 무력화 시기는 것
2) 치료과정
• 공통적인 치료과정 : 초기면접과 현재 문제 정의 단계 - 가설 설정과 목표 설정 단계 - 개입 선택과 실행단계
(1) 1단계 : 초기 면접과 현재 문제 정의 단계
• 전체 상담의 계획을 세우는 기초과정
• 문제나 증상에 대해 구체적인 행동 용어 정의
• 문제에 초점을 두고 지금까지 시도했던 대처방법과 해결책을 질문하여 문제를 유지
• 시키는 행동과 연쇄 과정 파악
① 헤일리의 초기 면접 과정
사회적 단계 - 문제정의 단계 - 상호작용과 가족구조 진단 단계
② 밀란 모델
면접 전 : 전화접수를 통해 가족의 정보와 현재 문제 파악
면접 장면 : 문제와 상호작용에 대해 평가
(2) 2단계 : 가설 설정과 목표 설정 단계
• 증상과 문제행동은 가족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제로서 다른 가족원에 대한 통제방식 기능을 한다는 가정
• 가족 사정 : 가족원 개개인이 문제를 어떻게 보는지를 파악하여 문제를 정의하는 데서 시작
• 문제에 대한 체계적 관점으로 구성된 가설이 정확하게 설정되면 이를 비탕으로 상담 계획 수립
• 밀란 모델 : 팀 접근을 하고 면접 후반부에 휴지기를 두어 가설 확인과 목표 설정 및 개입방법에 대한 논의 과정
(3) 3단계 : 개입 선택과 실행 단계
• 정밀한 관찰과 면접을 통해 가족 상호작용의 반복적 연쇄 과정을 파악한 후 역기능적 연쇄 과정을 수정할 수 있는 작지
만 의미 있는 개입을 계획
• 내담자의 강점을 찾아 그것을 문제 해결에 활용
• 지시나 과제의 설정
• 치료 상황에서 내담자 가족에게 15분 이상의 논쟁을 허락하지 않음
• 종종 '관찰팀'과 작업
MRI의 상호작용모델 | 헤일리의 구조 · 전략적 모델 | 밀란의 체계론적 모델 | |
치료과정 | • 상담과정 소개 • 문제에 대한 조사와 정의 • 문제 유지시키는 행동 평가 • 상담 목표 설정 • 개입 선택과 실행, 과제주기 |
• 사회적 단계 • 문제 정의 단계 • 상호작용과 가족구조 진단 단계 • 목표 설정 단계 • 개입선택과 과제 지시 단계 |
• 면접 전 정보 수집 단계 • 면접 동안 문세와 상호작용 평가 단계 • 휴지기 동안 가설설정 및 상담 목표설정 단계 • 개입 선택과 실행, 과제 부여 단계 • 면접 후 논의 단계 |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략적 가족치료의 사례와 치료과정 및 방법 (0) | 2021.06.04 |
---|---|
전략적 가족치료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0) | 2021.06.03 |
전략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 (0) | 2021.06.02 |
전략적 가족치료 (0) | 2021.06.02 |
경험적 가족치료의 사례 (0) | 2021.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