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복지' 카테고리의 글 목록 (34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노인복지138

인구구조 변동 (1) 우리나라의 인구피라미드 변화 추이 - 노인인구의 절대 수 증가는 기대수명이 증가(또는 사망률 감소)함에 따라 나타나고 이는 보건의료기술의 향상, 주거환경의 위생적인 변화,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영양상태 호전, 개인의 건강관리 상태가 좋아짐에 따라 사망률이 감소하기 때문임 (2) 노인인구 구조변동의 질적 원인 ① 의학기술의 발전은 질병의 예방, 진단 및 치료방법을 개선하여 사망률 하락을 가져왔음 ② 사회적 및 경제적 조건의 변화는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를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였다. 또한 주거환경 및 생활환경의 개선은 보건위생시설의 확충을 통해 전염병의 경로를 차단하였음 ③ 가치관의 변화는 피임방법의 발견과 함께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결혼연령의 상승, 자녀 출산의 기피 등으로 출산율을 하락시킴 ④.. 2022. 7. 1.
고령화와 노인문제 과거에는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로 여겨졌던 것이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우리 사회가 공동으로 대처해야 하는 사회문제로 등장하게 되었음 (1) 건강 약화 • 노인의 걱정거리나 관심사에서 건강문제는 큰 비중을 차지함. 이를 증명해주는 것으로 통계청(2016) 조사에 의하면 2015년 기준 65세 이상 고령자는 향후 늘려야 할 복지서비스로 「보건의료, 건강 관리 서비스(59.7%)」를 꼽았는데 「보건의료, 건강관리 서비스」는 남자보다는 여자가 상대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음 • 또한 노인들은 고령화가 되면서 신체적 기능 저하로 인해 상병률이 높아지며 노인병은 만성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 • 보건복지부(2014) 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 여성 노인의 90.4%가 만성질환을 한 가지 이상 앓고 있으며 만성퇴.. 2022. 6. 30.
인구고령화와 그 영향 (1) 노인인구 수의 증가 • 2015년 세계 인구는 73억 2천만 명으로, 2000년에 비해 1.2배로 증가하였고, 향후 15년간도 유사한 속도로 증가하여 2030년에는 84억 2천만 명에 이를 전망임 • 한국 인구는 2015년 5천 1백만 명으로, 2000년에 비해 1.1배로 증가하였고, 향후 15년간에는 소폭 증가에 그쳐 2030년에 5천 2백만 명으로 정점에 이를 전망임 • 통계청(2016)에 의하면 한국의 고령인구 비중은 2015년 13.2%로 1960년(2.9%)에 비해 4.5배로 증가한 수준이며,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여 2030년에는 24.3%, 2060년에는 40.1%로 높아질 전망임 • 고령인구 비중 순위는 1960년 152위에서 2015년 51위, 2030년 15위, 2060년에는 2위.. 2022. 6. 29.
변화하는 가족관계 • 현대의 가족관계는 과거의 가족관계와는 매우 다른 차원으로 발전하고 있음 • 과거의 3세대 가족은 대부분 디자녀를 양육하였지만, 1차 베이비붐(1955~63 년생) 이후 세대들은 인구정책에 부응하여 자녀를 하나 또는 둘만 낳았고 현재 청년세대들은 자녀 출산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았음 • 이러한 출산 기피현상은 무자녀, 자녀 1명 또는 2명 만을 출산하는 가족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통계청, 2014 한국 보건사회 연구원, 2014) (1) 노부모-성인자녀와의 관계 - 부모가 자녀와 동거하는 비율은 38.0%('08) - 35.3%(10) - 33.7%(12) - 31.4%('14)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자녀 중에서는 장남(맏며느리)과 사는 비율이 14.6%로 가장 높았으나, 과거에 비해 감소하.. 2022.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