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6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84

고령자 취업관련 법률 - 노인고용 관련 법률로는 합리적인 이유 없이 연령을 이유로 하는 고용차별을 금지하고, 고령자가 그 능력에 맞는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 촉진함으로써, 고령자의 고용안정과 국민경제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을 비롯하여 「근로기준법」, 「최저임금법」, 「임 금채권보장법」, 「근로자능력개발법」, 「직업안정법」, 「고용보험법」, 「고용정책기본법」, 자퇴직급여보장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기초노령연금법」, 「국민연금법」, 「저출산·고령화기본법」,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등의 여러 법률이 제정되어 있음(장인호, 2014) - 우리나라의 전직 및 재취업 지원과 관련된 법적근거는 「고용정책기본법」, 「고용보험법」, 「근로자직.. 2024. 2. 6.
노인취업실태 1)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55~64세 고령층 대상) • 통계청(2016)의 발표에 의하면 55~64세 취업 유경험자의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4년이었으며 성별로 보면, 남자(18년 10.0개월)가 여자 (10년 11.0개월) 보다 평균 근속기간이 7년 110개월 더 길었음 2) 직업별 오래 근무한 일자리 「농림어업숙련종사자가 25년 9.8개월로 가장 길었고, 다음으로 관리자 · 전문가」 20년 0.8개월, 사무 종사자 16년 4.8개월 순으로 길었음. 3) 그만둔 연령 • 취업 유경험자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 둘 당시 평균연령은 만 49.1세로 성별로 보면 남자 51.6세, 여자 47.0세에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었음 • 한편, 가장 오래 근무한.. 2024. 2. 5.
재취업 관련 이론 1) 인적자본이론 • 최근 한국 사회에서 취업 장벽이 높아지면서 개인의 인적자원개발은 중시되며 각 개인이 지닌 인적자본에 따라 노동시장 진입에 차이를 보임. 이는 노동시장에서의 취업성과를 인적자본이론으로 설명함 • 인적자본이론이란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행위를 통해 질 높은 노동력이 생성되고, 그에 따른 생산성 차이가 취업가능성 및 소득 증대의 차이로 귀결된다는 것임 (Becker, 1964; Mincer, 1974) 2) 직업탐색이론 • 직업탐색이론은 실업자의 실업기간과 재취업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이론이라 하겠음 • 직업탐색이론은 노동시장에서 정보의 불완전성을 전제로 하여 정보를 얻는 행위는 곧 비용이 드는 생산과정으로 간주하기 때문에 구직자나 고용자 모두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한 탐색과정이 필요함 • 이.. 2024. 2. 1.
노인취업교육 1) 고령자 재취업교육의 이해 ● 재취업의 개념 - 우리나라 기업의 퇴직연령은 만 55세 전후로 이 시기에 비자발적 퇴직을 경험함. 대부분의 준고령자는 노동시장 재진입에 대한 욕구를 지니고 있으며 이러한 욕구를 바탕으로 구직활동 역시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음 - 재취업이란 노동시장을 이탈했다가 다시 재진입하는 상태를 의미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연구자마다 목적에 따라 상이하게 사용하고 있어, 일괄적이고 명확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음 - 비자발적 퇴직 후 재취업에 성공한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재취업을 특별한 이유로 하여 노동시장을 떠난 뒤 일정기간이 지난 이후에 다시 노동시장에 재진입 혹은 창업을 하는 것으로 정의 내렸음(송희영, 2016) - 고령자의 재취업을 가장 오래 지속된 직업 즉, 경력직업 (.. 2024. 1. 28.
반응형